티스토리 뷰
Info Money
정부가 홍보하는 “청년도약계좌로 최대 5천만 원 수령 가능”, 이 문구를 보고 혹시 “정말 그렇게 많이 받는 게 가능해?”라고 궁금하셨나요? 이 글에서는 그 수령액이
어떤 조건에서 가능한지, 현실적으로 가능한 금액은 얼마인지
자세히 분석해드립니다.
목차 (클릭하면 펼처집니다.)
청년도약계좌 수령 구조 요약
청년도약계좌의 최종 수령액은 크게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집니다:
- 본인 저축금: 매월 납입한 금액의 총합
- 정부지원금: 소득 구간에 따른 매칭 지원금
- 복리 이자: 비과세 적용되는 복리 이자 수익
이 세 가지가 결합되어 5년 만기 시 최대 약 5,000만 원까지 수령이 가능한 구조입니다.
최대 수령액 5천만 원 시나리오 (이론적 계산)
다음은 저소득 청년이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고, 정부지원과 이자를 모두 받은 경우를 기준으로 한 시뮬레이션입니다.
항목 | 금액 |
---|---|
총 납입액 (월 70만 원 × 60개월) | 42,000,000원 |
정부지원금 (월 4만 원 × 60개월) | 2,400,000원 |
복리 이자 (3.5% 기준, 비과세) | 약 5,600,000원 |
총 수령 예상 | 약 50,000,000원 |
즉, ‘최대 5천만 원’은 고정된 금액이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가능한 수치입니다.
그렇다면, 일반적인 청년은 얼마를 받을 수 있을까?
대부분의 청년은 ‘저소득’이 아닌 ‘중소득’ 또는 ‘중상소득’ 구간에 해당합니다. 그럴 경우 정부지원금이 줄거나, 이자만 혜택을 받게 되는데요.
소득 구간 | 정부지원 | 예상 수령 총액 (5년) |
---|---|---|
저소득 | 2,400,000원 | 약 50,000,000원 |
중간소득 | 1,000,000원 내외 | 약 45,000,000원 |
고소득 | 지원금 없음 | 약 43,000,000원 |
결론적으로 대부분의 가입자는 4,300만 원~4,700만 원 수준의 수령
을 기대할 수 있으며, ‘최대 5천만 원’은 일부 조건 충족자에 한정된 금액입니다.
5천만 원 수령을 위한 조건 정리
- 월 최대 납입: 70만 원을 5년간 꾸준히 납입
- 저소득 구간 해당: 연소득 낮고, 가구소득도 중위소득 100~120% 이하
- 중도해지 없이 유지: 5년 유지가 핵심
- 금리 높은 은행 선택: 복리 이자 최대화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누구나 5천만 원 받을 수 있나요?
아닙니다. 최대 수령액은 고정이 아닌 조건별 최대치입니다.
Q. 정부지원금이 줄어들 수 있나요?
소득이 증가하거나 납입 누락 시 일부 또는 전액 제외될 수 있습니다.
Q. 납입금이 낮으면 수령액도 많이 줄어드나요?
네. 납입액이 적으면 이자와 지원금 누적 효과도 작아집니다.
결론 – 현실적인 기대치로 접근하자
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자산 형성에 직접 참여하는 유일한 상품입니다. ‘최대 5천만 원’이라는 타이틀에 혹하기보다는, 내 소득 구간, 납입 여력, 장기 유지 가능성을 먼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, 세제 혜택 + 정부지원 + 복리 구조가 결합된 이 제도는 현존하는 청년 자산 상품 중 가장 강력하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