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Info Money
청년도약계좌를 알고 있었지만, “내 연봉이 너무 높아서 못 가입할 것 같아…” 이렇게 포기했던 청년들에게 희소식입니다! 2025년부터
청년도약계좌 소득 상한선이 대폭 완화
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소득 기준 변화와 주의사항을 상세히 정리해드립니다.
목차 (클릭하면 펼처집니다.)
2024년 vs 2025년 소득 기준 비교
먼저, 지난해(2024년)와 올해(2025년) 소득 상한선을 비교해보겠습니다.
구분 | 2024년 | 2025년 (변경) |
---|---|---|
개인 총급여 기준 | 7,200만 원 이하 | 7,500만 원 이하 |
종합소득금액 기준 | 6,000만 원 이하 | 6,300만 원 이하 |
가구 중위소득 기준 | 160% 이하 | 180% 이하 |
전년도 대비 개인 소득과 가구 소득 기준이 모두 5~10% 정도 상향
된 셈입니다.
왜 소득 상한선을 높였을까?
정부는 청년도약계좌의 참여율을 높이고, 중산층 청년들의 자산형성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소득 요건을 완화했습니다.
- 고소득 청년의 자산 격차 완화
- 중산층 청년 자산 마련 기회 확대
- 사회초년생·전문직 청년도 포괄
특히 전문직 초년생, 대기업 신입사원 등 연봉 5천~6천만 원대 청년들도 이제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해졌습니다.
소득 상한선 완화에 따른 실제 영향
소득 기준이 높아졌지만, 소득이 높을수록 정부지원금 규모는 줄어듭니다. 구체적으로 보면:
- 총급여 4천만 원 이하: 최대 월 4만 원 지원
- 총급여 4천만 원~6천만 원: 월 1.6만 원~2만 원 지원
- 총급여 6천만 원~7,500만 원: 지원금 없음 (이자 비과세만 혜택)
즉, 소득이 높아도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가능
하지만, 정부 매칭 지원은 줄어든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조건 완화 요약 정리
- 가입 문턱 낮아짐: 더 많은 청년들이 대상
- 정부지원금은 소득별 차등
- 5년 유지 시 복리 이자 수익 극대화 가능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연봉 7,400만 원인데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할까요?
가능합니다. 2025년부터 7,500만 원까지 허용됩니다.
Q. 고소득자도 이자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있나요?
네. 정부 매칭지원은 없지만, 복리 비과세 혜택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Q. 중간에 소득이 늘어나면 탈락되나요?
아닙니다. 가입 시점 기준이므로 이후 소득 변동은 무관합니다.
결론 – 지금이 청년도약계좌 가입 최적기
청년도약계좌 소득 상한선 완화로 인해, 이제는 더 많은 청년들이 목돈 마련에 도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특히 일정 소득 이상의 청년들도 비과세 복리 혜택을 활용할 수 있으니, 자격 요건이 충족된다면 지금 바로 신청해보세요!